

글로벌 제조업 패러다임이 산업용 로봇 중심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브릿지코드 M&A센터 김대업 센터장이 최근 아시아타임즈에 기고를 통해 산업용 로봇 시장의 글로벌 M&A 동향과 한국의 전략 과제를 심층 분석했다.
김 센터장은 “산업용 로봇은 AI, 센서, 클라우드 소프트웨어가 결합되며 단순한 기계를 넘어 자율 생산 시스템의 핵심 축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 변화는 자율주행보다 먼저 현실화되고, 제조업이 생산성 혁신 없이는 생존이 어려운 구조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중국이 2015년부터 로봇 산업을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지정하고, 국가–대기업 연합형 M&A 전략을 통해 △핵심 기술 확보 △제품화 △내수 장악 △수출 확대의 장기 로드맵을 실행 중이라고 분석했다. 메이디(Midea)의 글로벌 3위 로봇 기업 쿠카(KUKA) 인수, 하이얼(Haier)의 시아순(SIASUN) 인수 추진은 그 대표적인 사례다. 김 센터장은 이를 “단발성 인수가 아닌 산업 패권 확보를 위한 체계적 전략”으로 평가했다.
반면 한국은 삼성–레인보우로보틱스, 현대–보스턴다이내믹스 등 일부 대기업 중심의 투자 사례는 있지만, 산업정책과 M&A 전략의 연계 부족으로 핵심 기술·자산 내재화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스타트업과의 협력은 늘었지만, 소유권과 통제권이 외부에 남아 국내 산업 생태계로 완전히 흡수되지 못하는 점도 구조적 과제로 꼽았다.
김 센터장은 “산업용 로봇은 AI와 결합하며 가장 빠르게 재편되는 분야 중 하나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의 정책과 민간 M&A 전략이 결합해야 한다”며, “브릿지코드는 기술 가치 평가, 산업별 성장 전략 설계,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 매칭을 통해 한국 기업이 단순 수요국에서 기술·플랫폼 공급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타임즈 기사 원문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로봇 AI 산업 트렌드 분석 : 왜 지금 M&A 시장의 중심이 되었을까
제조업 M&A 트렌드 분석 : 전통 산업의 전환점, 주목해야 할 흐름은?

